서울 이영학(李英學) 묘 이영학(1904년~1955년)동아일보 선천지부 기자를 시작으로지국장까지 지내며 선천 지역의 언론,문화, 체육 분야의 지도자로 활동했다1937년 수양동우회 사건으로 체포되어옥고를 치렀으며 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한민당 발기인으로 참여했고 1.4후퇴 당시월남하여 부천에서 별세하였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5.12
서울 최학송(崔鶴松) 묘 최학송 (1901년~1932년) 호인 '서해'를 붙여 최서해로 불리기도 한다 조선문단에 이 추천되면서 본격적인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대체로 빈궁을 소재로 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썼는데, 이는 그의 개인적인 체험에서 나온 작품 성향이다 대표작으로 , , , , 등이 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14
서울 이중섭(李仲燮) 묘 이중섭 (1916년~1956년) 도쿄 제국미술학교에서 서양학을 전공하다 분카학원 미술과에 입학하였다 1940년 미술창작가협회전에 출품하여 협회상을 수상하였으며 1943년 같은 협회전에서는 태양상을 수상하였다 결혼 후 강원도 원산에서 살았으나 북한으로부터 많은 억압을 받았고 결국 6.25 전쟁 당시 유엔군이 북진하자 원산을 벗어나 제주도에 정착하였다 하지만 생활고를 겪으며 부산으로 터전을 옮겼고 일본으로 건너간 아내와 두 아들을 그리워하다 영양실조와 정신이상 증세로 세상을 떠났다 대표작으로는 , , , 등이 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13
서울 오재영(吳哉泳) 묘 오재영 (1897년~1948년) 1919년 혈성단에 가입하여 활동했으며 상해 임시정부와 비밀리에 연락하면서 기관지인 독립신문에서도 활동했다 1920년 의열단원 박재혁이 부산경찰서에서 서장에게 폭탄을 던지는 의거를 했을 당시 상해에서 가져온 폭탄 한 개를 맡아두는 등 박재혁이 거사를 할 수 있게 도와주었다 이 일로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기도 하였다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12
서울 서동일(徐東日) 묘 서동일 (1893년~1965년) 국민당에 가입하여 재정부장이 되었고 국내에 잠입하여 대구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아 중국으로 전달하였다 다물단이 조직되자 그곳의 단원이 되었고 1926년 경산 일대에서 군자금을 모집하다 경찰에게 체포되어 징역을 선고받았다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11
서울 김정규 묘 터 김정규 (1883년~1960년) 3.1 운동 당시 만세 운동을 주도했던 독립운동가로 사망 후 망우리공동묘지에 묻혔다가 대전현충원으로 이장되었다 현재 묘 터에는 묘비가 남아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10
서울 송석하 묘 터 송석하 (1904년~1948년) 국립민족박물관 초대 관장을 지내고 1948년 별세하자 망우리에 안장되었다 그러다 1996년 충청남도 태안으로 이장되었는데 본래 묘가 있던 자리에는 모든 석물을 두고 가서 봉분만 없고 묘 형식을 그대로 갖추고 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09
서울 박인환(朴寅煥) 묘 박인환 (1926년~1956년) 해방 후 종로에서 '마리서사'라는 서점을 경영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인이 되었다 대표작으로는 , 가 있는데 이 시들은 노래로 작곡되어 불리기도 하였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08
서울 김호직(金浩稙) 묘 김호직 (1905년~1959년) 생물학과 영양학을 공부하였으며 그 중에서 특히 '콩'에 대한 연구를 중심적으로 하고 콩을 재료로 하는 보강식을 발명하여 특허를 받기도 하였다 연희대학교 교수, 문교부차관, 한국영양협회장, 건국대학교 축산대학장 등을 지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3.06
서울 석관동 중앙정보부 석관동 중앙정보부 서울 의릉 능역에 위치했던 기관으로 국내정보담당 부서의 남산과 다르게 해외정보담당을 맡고 있던 곳이다 그럼에도 남산과 마찬가지로 수 많은 고문이 진행되었던 공간으로 훗날 안기부로 명칭이 바뀌었을 때도 해외담당부서로 똑같이 사용되었다 본래 의릉에 연못도 조성하고 연병장도 자리하고 있었지만 현재는 모두 본래 모습으로 복원되었으며 중앙정보부 본관은 의릉 복원과 함께 철거되어 현재는 찾아볼 수 없다 현재 국가정보대학원으로 쓰던 건물과 부속 건물들이 남아있으며 정보부수송대가 있던 자리에는 신교사가 지어졌다 [그 외 부속 건물]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4.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