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현충원 115

서울현충원 - 고창일(高昌一 ) 위패

고창일(1892년~?)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러시아군장교로 복무했다. 전로한족회중앙총회가 결성되자참가했으며 이것이 대한국민의회로 개편되자참여해 활동했다. 파리강화회의에 대한국민의회대표로 선발되어 파리로 갔으나 이미 폐회되어서프랑스어로 한국의 독립과 평화에 대해 발표하고돌아왔다. 이후 문창범, 박용만, 유동열 등과 함께독립운동 방안에 대해 의논하고 고려공산당을조직했으며 국민대표회에 창조파로 참석하였다해방 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에서 활동했으며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외무부차관에 임명되어외무부장관 서리로서 UN가입 신청을 하였다6.25전쟁 당시 납북되어 이후 행적을 알 수 없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25

서울현충원 - 김규식(金奎植) 위패

김규식(1881년~1950년)6세의 나이로 고아가 되었으나 미국 선교사언더우드의 도움으로 성정했으며 미국으로 건너가로노크대학교에서 공부하고 프린스턴대학교에서석사 학위를 받고 귀국하였다. 연희전문학교 강사를지내는 등 교육인으로 활동하다 중국으로 망명했고1919년 파리강화회의에 한국인 대표로 참석했다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고 외무총장, 학무총장,구미위원장 등을 지냈으며 김원봉, 지청천 등과민족혁명당을 창당하고 주석이 되었다. 이후에는다시 임시정부로 돌아와 국무위원을 지내다가부주석에 선임되어 김구와 함께 임시정부를이끌다가 해방을 맞이했다. 귀국하여 김구, 이승만등과 함께 우익 3영수로 불리며 정치인으로활동했으나 여운형 등과 좌우합작위원회를결성하여 우파 대표로 활동했으며 미군정의주도로 남조선과도입법의원이 결성..

서울현충원 2025.04.24

서울현충원 - 조소앙(趙素昻) 위패

조소앙(1887년~1958년)본명은 용은(鏞殷). 메이지대학 법학부를졸업하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무오독립선언에39인의 한 사람으로 서명했다. 대한독립의군부가조직되자 부주석에 선출되었고 한성정부 교통부장에추대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고김규식과 파리강화회의에 참여하여 우리의 독립을세계에 호소하였다. 이후 임시정부 외무총장,임시의정원 의장 등을 지냈으며 한국독립당 창당에참여했는데 이때쯤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주장하는 삼균주의를 제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삼균주의를 국시로 하는대한민국임시정부건국강령이 채택되고 한국독립당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임시정부를 충칭으로 옮기고외무부장이 되어 대일선전, 외교문제를 전담하다해방을 맞이하여 제2진으로 귀국하였다. 해방정국안에서 정치인으로 ..

서울현충원 2025.04.23

서울현충원 - 오화영(吳華英) 위패

오화영(1880년~1960년)동학에 입교해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했으며미국인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아 기독교인으로활동했고 서울 종교교회에서 장로목사 안수를받았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태화관에서독립선언식을 진행하고 체포되어 2년 6개월 형을선고받고 만기 출옥하였다. 이후 수표교교회,상동교회, 연화봉교회 담임목사를 지내는 등종교인으로 활동하는 한편, 신간회, 광주학생운동에참여하고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체포되는 등독립운동을 이어갔다. 해방 후 조선민족당 당수에임명되었다가 민족자주연맹에 참여했고 김구,김규식 등과 평양에 건너가 남북연석회의에참여했다. 또한 건국대학교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조선정치대학의 학장이 되었고 서울 종로구에서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6..

서울현충원 2025.04.21

서울현충원 - 명제세(明濟世) 위패

명제세(1885년~1964년)일찍이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 건너가외국어학교를 졸업하고 귀국해 독립운동에투신했다. 광복단에 가입했으며 임시정부가수립되자 박은식 등 30명과 선언서를 작성했다이후 톈진불변단을 조직해 부단장으로 활동하다단장 조선홍의 뒤를 이어 단장의 자리에 올랐다해방 후 건국준비위원회에 참여했고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되자 초대 심계원장(감사원장)을지냈으나 6.25전쟁 당시 납북되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20

서울현충원 - 박열(朴烈) 위패

박열(1902년~1974년)경성제2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해 수학하던 중3.1운동에 참여하여 퇴학당하고 일본으로건너가 세이소쿠영어학교에 들어가게 되었다일본에서 사회주의자들과 교류하며 자연스레사회주의운동에 참여했고 조봉암, 김약수 등과흑도회를 창설하였다. 1922년 공산주의자들과분리해 무정부주의자들과 풍뢰회를 조직하고1923년에는 비밀결사인 불령사를 조직하였다9월 관동대지진이 일어나고 조선인들이 학살당할때 기타 잇키의 도움으로 피산하였으나이틀 뒤에 보호 검속이라는 명분으로 체포되고결국 치안경찰법 위반 혐의로 기소가 되었다이때 취조에서 폭탄 구매 계획이 드러났는데일본 경찰은 이것을 일본 황태자 결혼식 날천황 부부를 암살하려 했다는 사건으로 과장,날조하여 박열과 그의 애인 가네코 후미코를재판에 세우게 된다. 결국 ..

서울현충원 2025.04.19

서울현충원 - 안재홍(安在鴻) 위패

안재홍(1891년~1965년)일찍이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정경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언론인으로활동하다 상해로 망명하였다. 동제사에 들어가활동했으며 다시 귀국하여 중앙학교 교감을지내고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교육부 간사를지내면서 비밀결사 대한민국청년외교단에들어가 임시정부 연통부 역할을 하다 발각되어3년 옥살이를 살았다. 1923년 시대일보 창간에참여해 이사 및 논설위원을 지냈고 조선일보주필, 부사장을 거쳐 사장 자리에 올랐다1927년 신간회 총무간사로 활동하다 붙잡혀8개월 옥고를 치렀으며 1936년 임시정부와활동했던 사실이 드러나 2년 옥살이를 하였다우리나라 상고사와 조선철학 연구에 정진하여 등을 간행하는 한편, 1942년조선어학회 사건 당시 체포되어 2년 옥고를치렀다. 해방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

서울현충원 2025.04.18

서울현충원 - 김붕준(金朋濬) 위패

김붕준(1888년~1950년)안정근과 함께 신민회에 가입해 활동했고3.1운동 이후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다. 임시정부 비서장과임시의정원 의원 등을 지내고 안창호와 흥사단원동위원부를 창설했으며 상해 대한인교민회단장을 지냈다. 독립신문 경영, 인성학교 교장등을 지내며 독립 정신을 고취시키는 한편흥사단 원동위원장, 임시의정원 의장 등을역임했다. 이후 임시정부 국무위원으로활동하다 광복을 맞아 귀국했으며 정치에입문해 비상국민회의 최고정무위원을 지냈다또한 남조선과도입법의원 헌법·선거법기초위원장을 지냈고 김규식, 여운형, 안재홍등과 함께 좌우합작위원회의 중심 인물로활동했다. 신진당을 창당했으며 남북협상에관여했고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지청천에 밀려 낙선하였다. 얼마 뒤 6.25전쟁이..

서울현충원 2025.04.17

서울현충원 - 윤기섭(尹琦燮) 위패

윤기섭(1887년~1959년)오산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중국으로 망명 후신흥무관학교의 교장으로 활동하였다. 1912년부민단에 가입하고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활동하다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민족혁명당창당에 참여하였다. 임시정부가 충칭으로이전하고 군무차장, 국무위원 등을 지내다가해방을 맞이하여 제2진으로 귀국하였다해방 정국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의장을지냈으나 중도우파 성향이었던 그는 곧좌우합작위원회에 참여했고 그 해 12월에남조선과도입법의원 부의장에 선출되었다국학대학의 학장이 되었고 제2대 국회의원선거 당시 서울 서대문구 을에 출마하여당선되었으나 6.25전쟁 당시 납북되었다북에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가 결성되자상무위원으로 활동하다 간첩 혐의를 받고투옥되어 병세가 악화되었고 결국 사망했다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14

서울현충원 - 원세훈(元世勳) 위패

원세훈(1887년~1959년)대동법률전문학교를 다녔으나 비밀결사를조직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5개월 동안 옥고를치르고 가석방되었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간도모록구에 모록의숙을 설립해 청년들에게 독립의식을 고취시키다 일본영사관을 피해 도주했다철혈광복단을 조직했고 이동휘, 문창범 등과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조직해 재정부장으로활동했으며 대한국민의회 부의장에 취임했다국민대표회의 당시 창조파에 가담했고 경찰에신채호 외 5인이 잡혀 구출운동을 전개했으나체포되었다. 석방 후 다시 망명을 시도했으나실패했고 계몽운동을 하며 총독부를 비판하다광복을 맞이했다. 이후 고려민주당을 조직하고송진우와 국민대회준비회를 만들어 부위원장에취임했으며 한국민주당을 조직해 총무가 되었고송진우가 암살당하자 임시 수석총무가 되기도하였다. 좌우합작위원회, ..

서울현충원 2025.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