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32

서울현충원 - 조소앙(趙素昻) 위패

조소앙(1887년~1958년)본명은 용은(鏞殷). 메이지대학 법학부를졸업하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무오독립선언에39인의 한 사람으로 서명했다. 대한독립의군부가조직되자 부주석에 선출되었고 한성정부 교통부장에추대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했고김규식과 파리강화회의에 참여하여 우리의 독립을세계에 호소하였다. 이후 임시정부 외무총장,임시의정원 의장 등을 지냈으며 한국독립당 창당에참여했는데 이때쯤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주장하는 삼균주의를 제창하였다. 이를 기반으로임시정부 국무회의에서 삼균주의를 국시로 하는대한민국임시정부건국강령이 채택되고 한국독립당부위원장 등을 지냈다. 임시정부를 충칭으로 옮기고외무부장이 되어 대일선전, 외교문제를 전담하다해방을 맞이하여 제2진으로 귀국하였다. 해방정국안에서 정치인으로 ..

서울현충원 2025.04.23

서울현충원 - 오화영(吳華英) 위패

오화영(1880년~1960년)동학에 입교해 동학농민운동에 참여했으며미국인 선교사에게 세례를 받아 기독교인으로활동했고 서울 종교교회에서 장로목사 안수를받았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한 사람으로 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태화관에서독립선언식을 진행하고 체포되어 2년 6개월 형을선고받고 만기 출옥하였다. 이후 수표교교회,상동교회, 연화봉교회 담임목사를 지내는 등종교인으로 활동하는 한편, 신간회, 광주학생운동에참여하고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체포되는 등독립운동을 이어갔다. 해방 후 조선민족당 당수에임명되었다가 민족자주연맹에 참여했고 김구,김규식 등과 평양에 건너가 남북연석회의에참여했다. 또한 건국대학교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조선정치대학의 학장이 되었고 서울 종로구에서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 6..

서울현충원 2025.04.21

서울현충원 - 안재홍(安在鴻) 위패

안재홍(1891년~1965년)일찍이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와세다대학정경학부를 졸업하고 귀국하여 언론인으로활동하다 상해로 망명하였다. 동제사에 들어가활동했으며 다시 귀국하여 중앙학교 교감을지내고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교육부 간사를지내면서 비밀결사 대한민국청년외교단에들어가 임시정부 연통부 역할을 하다 발각되어3년 옥살이를 살았다. 1923년 시대일보 창간에참여해 이사 및 논설위원을 지냈고 조선일보주필, 부사장을 거쳐 사장 자리에 올랐다1927년 신간회 총무간사로 활동하다 붙잡혀8개월 옥고를 치렀으며 1936년 임시정부와활동했던 사실이 드러나 2년 옥살이를 하였다우리나라 상고사와 조선철학 연구에 정진하여 등을 간행하는 한편, 1942년조선어학회 사건 당시 체포되어 2년 옥고를치렀다. 해방 후 조선건국준비위원회 ..

서울현충원 2025.04.18

서울현충원 - 윤기섭(尹琦燮) 위패

윤기섭(1887년~1959년)오산학교 교사로 재직하다 중국으로 망명 후신흥무관학교의 교장으로 활동하였다. 1912년부민단에 가입하고 대한민국 임시의정원에서활동하다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민족혁명당창당에 참여하였다. 임시정부가 충칭으로이전하고 군무차장, 국무위원 등을 지내다가해방을 맞이하여 제2진으로 귀국하였다해방 정국에서 민주주의민족전선 부의장을지냈으나 중도우파 성향이었던 그는 곧좌우합작위원회에 참여했고 그 해 12월에남조선과도입법의원 부의장에 선출되었다국학대학의 학장이 되었고 제2대 국회의원선거 당시 서울 서대문구 을에 출마하여당선되었으나 6.25전쟁 당시 납북되었다북에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가 결성되자상무위원으로 활동하다 간첩 혐의를 받고투옥되어 병세가 악화되었고 결국 사망했다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14

서울현충원 - 원세훈(元世勳) 위패

원세훈(1887년~1959년)대동법률전문학교를 다녔으나 비밀결사를조직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5개월 동안 옥고를치르고 가석방되었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간도모록구에 모록의숙을 설립해 청년들에게 독립의식을 고취시키다 일본영사관을 피해 도주했다철혈광복단을 조직했고 이동휘, 문창범 등과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조직해 재정부장으로활동했으며 대한국민의회 부의장에 취임했다국민대표회의 당시 창조파에 가담했고 경찰에신채호 외 5인이 잡혀 구출운동을 전개했으나체포되었다. 석방 후 다시 망명을 시도했으나실패했고 계몽운동을 하며 총독부를 비판하다광복을 맞이했다. 이후 고려민주당을 조직하고송진우와 국민대회준비회를 만들어 부위원장에취임했으며 한국민주당을 조직해 총무가 되었고송진우가 암살당하자 임시 수석총무가 되기도하였다. 좌우합작위원회, ..

서울현충원 2025.04.10

남양주 문동환(文東煥) 묘

문동환(1921년~2019년)민주화운동가이자 목사인 문익환의동생으로 조선신학교를 졸업한 후미국에 있는 신학원에서 종교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한국으로 돌아와한국신학대학교 신학과 교수가 되었다그 후 종교 활동을 하면서 사회 활동에도나섰고 그러다 결국 교수직에서 해직당했으나 1976년 명동성당에서 '3.1민주 구국 선언문'을 참여한 혐의로투옥되는 등 활동을 멈추지 않았다1988년 제13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고5.18 광주 민주화 운동 진상 조사 특별위원회가 만들어지자 위원장직을 맡았다

경기도 2024.10.20

남양주 노회찬(魯會燦) 묘

노회찬(1956년~2018년)고등학생 시절 유신 반대 유인물을제작하여 배포하는 것으로 민주화 운동을시작했으며 고려대학교에 진학하고 자격증을취득해 용접공으로서 노동운동을 시작했다인천지역민주노동자연맹을 창립하였고이로 인해 구속되었다가 1992년 출소했다그 후 진보 정당 창립에 앞장서 민주노동당을창립했으며 제17대 총선 당시 선거 대책본부장을 맡아 진보 정당 최초로 원내진출이라는 성과를 이뤄냈고 본인도비례대표 8번으로 당선되어 본격적인정치인으로 활동하게 된다. 의정 활동 당시'호주제 폐지', '장애인차별금지법' 등을발의하는 등 여성과 장애인의 권리를증진하는데 노력했으며 소방 공무원의처우 개선, 조선왕조실록 환수 등의 성과를냈다. 2012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나'삼성X파일 떡값 명단 공개 사건'을 고발할당시 ..

경기도 2024.10.12

남양주 김근태(金槿泰) 묘

김근태(1947년~2011년)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학생으로군부독재에 반대하는 학생운동에 참여했다1971년 서울대생 내란음모 사건의 배후자로지목되어 수배 생활을 하게 됐고 1975년 헌법비방 및 반대, 허가 없는 학생 집회 등으로긴급조치 9호 위반에 위반되어 수배 생활을하게 되어 7년 넘게 수배 생활을 하게 됐다신군부 정권이 시작되자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의 초대 의장을 맡아 민주화운동을확산시켰으며 1985년 서울대 민주화추진위배우 조종 혐의로 남영동 대공분실에 끌려가23일 동안 고문 기술자 이근안에게 전기, 물고문 등을 당해 평생 후유증이 남게 됐다석방 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의정책기획실장 및 집행위원장을 맡았으며3당 합당이 진행되자 이를 반대하는 시위를주도하다 체포되어 다시 감옥 생활..

경기도 2024.10.07

서울현충원 - 안춘생(安椿生) 묘

안춘생(1912년~2011년)안장근의 아들로 안중근이 5촌 당숙부이다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를 졸업하고국민혁명군에서 활동하다 한국광복군제2지대 구대장을 지내며 독립을 준비했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이루지 못했다해방 후 육군사관학교 8기를 졸업하고육군사관학교장, 제8보병사단장, 국방부차관보 등을 지내고 중장으로 예편했다제9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의원으로임명되었고 제4대 광복회장을 지냈다전두환 정부 때는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위원, 제1~2대 독립기념관 관장을 지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4.09.30

서울현충원 - 조시원(趙時元) 묘

조시원(1904년~1982년)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부장을 지낸조소앙의 친동생으로 형과 마찬가지로일찍이 독립운동에 뛰어들어 한국독립당중앙상임위원을 지내고 임시정부 의정원의원을 지냈으며 한국광복군 창설에참여하여 총사령부 부관에 임명됐다해방 후 형 조소앙과 함께 사회당을창당했으며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양주군 갑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1971년 광복회 회장이 되어 유족들의복지를 위한 활동에 전념하였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4.09.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