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37

서울현충원 - 원세훈(元世勳) 위패

원세훈(1887년~1959년)대동법률전문학교를 다녔으나 비밀결사를조직해 활동하다 체포되어 5개월 동안 옥고를치르고 가석방되었고 중국으로 망명하여 간도모록구에 모록의숙을 설립해 청년들에게 독립의식을 고취시키다 일본영사관을 피해 도주했다철혈광복단을 조직했고 이동휘, 문창범 등과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조직해 재정부장으로활동했으며 대한국민의회 부의장에 취임했다국민대표회의 당시 창조파에 가담했고 경찰에신채호 외 5인이 잡혀 구출운동을 전개했으나체포되었다. 석방 후 다시 망명을 시도했으나실패했고 계몽운동을 하며 총독부를 비판하다광복을 맞이했다. 이후 고려민주당을 조직하고송진우와 국민대회준비회를 만들어 부위원장에취임했으며 한국민주당을 조직해 총무가 되었고송진우가 암살당하자 임시 수석총무가 되기도하였다. 좌우합작위원회, ..

서울현충원 2025.04.10

서울현충원 - 최동오(崔東旿) 위패

최동오(1892년~1963년)일찍이 동학교 입교해 강도사로 활동했으며3.1운동이 일어나자 의주에서 만세운동을주도하였다. 의주 천도교단의 후원을 받고천도교 대표로 임시정부로 넘어갔으며 내무부지방국장 등을 지냈다. 또한 김동삼, 현익철 등과정의부에서 활동했고 후에 국민부가 결성되자외교위원장에 선임되었다. 국민부 조직 개편으로조선혁명당이 창당되자 국제부장을 역임했고김원봉, 김규식 등과 민족혁명당을 창당했으며대한민국 임시정부에 합류해 의정원 부의장,법무부장 등을 역임하다 광복을 맞이했다광복 후 귀국하여 과도입법의원 부의장을지내고 민족자주연맹 소속으로 정치활동을이어가다 6.25전쟁이 일어나 납북당하였다북에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상무위원을지내며 활동하다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09

서울현충원 - 정인보(鄭寅普) 위패

정인보(1893년~1950년)학자이자 우국지사인 이건방 밑에서 양명학을수학했으며 상해로 건너가 박은식, 신규식,신채호, 문일평 등과 함께 동제사를 결성했으나부인이 사망하여 다음 해에 귀국하여 충청도에정착하였다. 이때 학문에 몰두하여 양명학은물론이고 본인의 학문관의 기초가 이루어졌다1923년 연희전문학교에서 한문과 조선문학을강의했고 동아일보, 시대일보 논설위원으로활동하며 등을 연재하고다산 정약용 서거 100주년에 맞춰 안재홍과를 교열, 간행하고 기념회에발기인으로 참가하여 전국 순회 강연을 돌았다또한 사상이 근간을 이루는 대표적인 저술인을 발표하였다. 일제강점기 말에내선일체 정책 등으로 조선어강좌가 폐지되어강사직을 사임하고 은거하다 광복을 맞았다해방정국에서 남조선민주의원에 선출되었으나곧 사퇴했고 국학대학 ..

서울현충원 2025.04.08

서울현충원 - 엄항섭(嚴恒燮) 위패

엄항섭(1898년~1962년)경기도 여주시 출신으로 일찍이 중국으로망명해 임시정부에 참여했고 항저우에 있는지강대학에서 수학했다. 상해한인청년동맹회발기인, 집행위원, 재정부장, 상해 한인교민단의경대장을 지냈고 한국독립당 선전부장이되었다. 임시의정원 의원을 지내고 임시정부가충칭으로 옮긴 후 선전부장과 김구 판공비서를지냈으며 해방 후 제1진으로 귀국하였다. 이후김구 곁에서 정치 활동을 하며 비상국민회의선전위원장 등을 지내고 남북연석회의 당시김구와 함께 참석하였으나 김구가 암살 되고영향력을 잃어갔다. 6.25전쟁이 일어날 당시서울에 있다가 납북되었고 북한에서 안재홍,조소앙 등과 함께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를조직하여 상무위원으로 활동했으나 1958년반당·반혁명 혐의로 체포되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07

서울현충원 - 송진우(宋鎭禹) 묘

송진우(1890년~1945년)전라남도 담양 출생으로 영학숙에서신학문을 접하고 그곳에서 알게된 김성수와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메이지대학 법학부를졸업하고 귀국했다. 김성수가 중앙학교를인수하자 교장이 되었고 1918년 중앙학교숙직실에서 김성수, 현상윤, 최남선, 최린 등과3.1운동을 계획했고 주도자의 한 사람으로체포되어 옥고를 치렀다. 이후 동아일보가창립되자 고문, 주필, 사장을 지내며 사상적기반을 다졌으며 물산장려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등을 이끌었다. 오랜 시간 동아일보를이끌었으나 1936년 손기정 일장기 말소 사건당시 일제의 압력으로 사장직을 사임했으며일제에게 대일협력을 강요받았으나 거절하며창씨개명 또한 하지않았다. 해방 직전에총독부에게 치안권 위임 등을 제안받았으나거절했고 해방 후 국민대회준비회를 조직하여..

서울현충원 2025.04.02

서울현충원 - 권기옥(權基玉) 묘

권기옥(1901년~1988년)숭의여학교 졸업반 때 3.1운동이 일어나자만세 시위에 동참해 유치장에 구류되었다이후 중국으로 망명해 운남육군항공학교를졸업하여 조선 여성 최초 비행사가 되었다1926년 독립운동가 이상정과 혼인하였고국민혁명군 항공사령부 소속 비행사가 되어총 7000시간을 비행했으며 의열단에 들어가여자부 연락원으로 활동했으나 밀정이라는모함을 받아 체포되어 옥고를 치르고 풀려났다중일전쟁이 발발하자 남편과 충칭으로 갔고최용덕 등과 광복군 비행대 편성을 구상했다해방 후 귀국하여 잠시 정계에 입문하기도했으나 신익희가 급사하자 이내 뜻을 접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4.01

서울현충원 - 최창식(崔昌植) 묘

최창식(1892년~1957년)오성학교 교사로 있을 당시 학생들에게민족의식, 독립주의 등을 고취시키다가금고 1년형을 선고받았다. 3.1운동이일어나자 적극 참여하였고 상해로 망명해임시의정원 초대 경기도 대의원이 되었으며임시정부 법무총장, 국무원 비서장 등을지냈다. 대한교육회 편집부장과 거류민단의사원을 겸하며 독립운동을 이어갔으며1924년 임시의정원 제10대 의장이 되었다이후 임시정부 국무위원, 한국노병회 이사등을 지내다 치안유지법 혐의로 체포되어징역 3년형을 선고받고 옥고를 치렀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31

서울현충원 - 박시창(朴始昌) 묘

박시창(1903년~1986년)임시정부 대통령을 지낸 박은식의 아들로황포군관학교에 입학해 근대 군사교육을받았고 국민혁명군 포병대로 편입되어북벌전쟁에 참여했다. 중국 육군대학에들어가 군사학을 연구했고 조선의용대와한국광복군에서 참모로 활동하다 광복을맞이했다. 이후 국군창설에 기여하고연대장, 사단장, 군단장 등을 지내면서6.25전쟁에 참전했으며 육군 소장으로예편 후 제5대 광복회 회장을 지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30

서울현충원 - 조인제(趙仁濟) 묘

조인제(1918년~1997년)임시정부 외무부장을 지낸 조소앙의아들로 낙양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군사훈련을 받았고 중국군에서 활약하다 삼촌인조시원에게 광복군이 창설되니 참여하라는연락을 받았다.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자부관이 되었고 총사령부에서 각종 직책을역임하며 광복군 참령까지 진급하였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29

서울현충원 - 조길룡(曺吉龍) 묘

조길룡(1909년~1991년)광주에서 독서회중앙부를 결성하여인쇄물 제작 및 배포를 하며 학생들의항일의식을 고취하던 중 1929년 11월 3일광주학생항일운동이 일어나자 시위에앞장섰으며 제2차 시위를 계획하여격문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뿌리며시위를 주도하였다. 이로 인해 경찰에게체포되어 징역 8개월을 선고받았으며학교에서 퇴학처분을 받았다. 거기에 더해독서회 활동으로 징역 2년을 선고받아복역했고 광복 후 광주에서 거주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