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주 한혜(韓惠) 묘 한혜(1403년~1431년)영의정을 지낸 한상경의 아들로세종의 신임을 받았다고 전해진다아버지가 사망하자 공신의 봉작을세습하여 청산군에 봉해졌고 예조참판,좌군총제 등을 지냈다. 절일사로서명나라를 다녀온 후 전라도관찰사와함경도관찰사를 지냈으나 요절하였다 경기도 2025.03.03
남양주 한계순(韓繼純) 묘 한계순(1431년~1486년)개국공신이자 영의정을 지낸 한상경의손자로 한혜의 아들이다. 남이의 옥사를다스려 익대공신 1등에 책록되고 청평군에봉해졌다. 우승지, 좌승지, 공조판서 등을지내고 성종이 즉위하자 좌리공신 3등에책록되었다. 창경궁 건립 당시 선공제조로공사를 관장하여 숭정대부에 오르게 되었디 경기도 2025.03.02
남양주 한상경(韓尙敬) 묘 한상경(1360년~1423년)고려 우왕 때 문과에 급제하여 관직을지내다 이성계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여조선 개국공신 3등에 추록되었다. 그 후충청도관찰사, 이조판서 등을 지내고태종 때 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을 지냈다본래 서원군에 봉해졌다가 태종 때가 되서서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시호는 문간이다 경기도 2025.02.28
서울 한치례(韓致禮) 묘 한치례(1441년~1499년)서원부원군 한확의 아들로 인수대비로유명한 소혜왕후의 동생이다. 좌리공신이되어 서릉군에 봉해지고 이조판서, 공조판서,호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두루 지내고연산군 때 영돈녕부사 서릉부원군이 되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5.02.26
서울 안온천(安溫泉) 묘 안온천(1442년~1463년)세종의 왕녀인 정의공주와 부마인연창위 안맹담의 차남으로 제용감 부정을지냈으며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슬퍼하며시묘생활을 하다가 이듬해 세상을 떠났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5.02.25
서울 이합(李柙) 묘 이합(1624년~1680년)예조판서를 지낸 이경헌의 아들이나이안눌의 양자가 되었다. 양아버지의음덕으로 관직에 나갔으며 형조참의,공조참의, 호조참의, 대사간 등을 지냈고갑인예송 당시 송시열이 죄를 입게 되자의논에 참여할 수 없다 하였다가 체직당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5.02.24
서울 이무영(李無影) 묘 이무영(1908년~1960년)본명은 이갑룡(李甲龍). 휘문학교를 다니다중퇴하고 일본에 있는 학교를 다녔으며그때 일본의 작가 밑에서 수업을 받았다1926년 조선문단에 로 등단해작가 활동을 시작했고 구인회 회원, 동아일보학예부 기자 등에서 활동하며 농민 문학을다루었다. 하지만 1942년 조선문인협회상임간사, 조선문인보국회 소설지회 회장등을 지내고 일제의 침략 전쟁을 찬양,지원병 징병 선전, 전쟁 참여 독려, 친일작품 저술 등 친일 활동에 적극 협력했다해방 후 서울대, 연세대에서 강의를 했고6.25전쟁이 일어나자 해군으로 입대하여정훈교육을 담당하였다. 국방부 정훈국장을지내고 해군 대령으로 예편한 후 각종문인 단체에서 활동하다 사망했다대표작으로는 , ,, 등이 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5.02.23
서울 박노식(朴魯植) 묘 박노식(1930년~1995년)악극단에서 연극 에서 주연을한 것을 시작으로 연기자 생활을 시작했다전쟁영화 , 극영화 ,액션영화 등 다양한장르의 영화에 출연했고 최무룡, 신영균,황해, 곽규석 등과 함께 에서열연하였다. 또한 , ,, 등으로대종상 남우주연상, 청룡상 남우주연상,아시아영화제 최우수 남우주연상 등을수상했다. 그리고 이에 그치지 않고 직접 등 13편의 영화를 감독,제작했고 총 900편의 작품에 출연했다영화배우 박준규의 부친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도 2025.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