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7

서울현충원 - 정이형(鄭伊衡) 묘

정이형(1897년~1956년)대지주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독립운동을하기 위해 만주로 망명해 대한통의부에 입단 후사령관 신팔균의 부관으로 독립전쟁에 참여했다만주에 있는 친일단체를 습격했고 정의부가결성되자 사령부관 겸 제1중대장이 되었으며제5중대장 김석하와 함께 국내진입작전을 수행,평안북도 초산군 추동주재소, 단일주재소,여해주재소를 습격해 성공하는 전과를 올렸다이후에도 정의부, 고려혁명당에서 활동하며독립운동을 이어오다 하얼빈에서 체포되었고신의주지방법원에서 무기징역을 선고받아해방때까지 19년의 옥고를 치르고 나왔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26

서울현충원 - 이수흥(李壽興) 묘

이수흥(1905년~1929년)일찍이 상해로 건너가 사관학교를 나오고대한통의부, 육군주만참의부에 참여했다1926년 독립운동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국내로 잠입했고 6.10만세운동이 일어나자동소문파출소를 습격하고 피신하였다고향인 이천으로 내려가 이천 식산회사를습격하려다 옆에 있는 주재소를 보고그곳을 먼저 습격했으며 상경하여 동료와전당포를 습격했다. 이후 아버지가 사망하자장례를 치르고 이천으로 갔다가 경찰에게체포되어 사형 선고 후 집행되어 순국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25

서울현충원 - 현순(玄楯) 묘

현순(1880년~1968년)3.1운동에 목사로서 참여하였고 중국상해에서 평화회의가 열리자 미국 대통령우드로 윌슨에게 독립청원서를 제출했다3.1운동 이후 독립운동가들이 상해로 모이자이광수 등과 함께 임시독립사무소를 개설했고같은 해 서울에서 국내 13도대표회의가 개최되자평정관에 선임되었다. 이후 이동녕, 손정도 등과제1회 임시의정원 회의를 개최했고 임시정부가수립되자 외무차장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8월내무차장에 임명되고 임시정부 특파원으로서만주, 노령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다 미국 뉴욕에도착해 구미위원부 위원장 서리로 활동했다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5.03.22

서울 허종(許琮) 단

허종(1434년~1494년)세조 때 관직에 나가 함길도병마절도사를지내다 부친상으로 사직했다가 이시애의 난이일어나자 돌아와 난을 평정하는데 일조했다이 공으로 적개공신 1등에 책록되고 양천군에봉해졌으며 대사헌, 병조판서 등을 지냈다성종이 즉위하자 좌리공신 4등에 책록되고예조판서, 호조판서, 좌참찬, 우찬성 등을지냈으며 여진족 우디거가 함길도 방면으로쳐들어오자 북정도원수가 되어 이를 격파하고우의정에 임명되었다. 시호는 충정이다.

서울 이극배(李克培) 묘

이극배(1422년~1495년)우의정 이인손의 아들로 세종 때관직에 나가 병조정랑 등을 지냈다세조가 즉위하는데 공을 세워 좌익공신에책록되고 광릉군에 봉해졌고 경상도, 경기도,평안도관찰사를 지내고 병조, 이조, 예조, 형조판서를 두루 역임했으며 좌리공신에 책록됐다우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임명됐으나 노병을이유로 사양했고 광릉부원군에 봉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