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 32

서울현충원 - 이갑성(李甲成) 묘

이갑성(1889년~1981년)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했고최연소자로서 청년층을 대표하여 3.1운동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참여했다출옥 후 YMCA 이사로서 청년들을 지도했고신간회 사건의 여파로 상해로 망명했으나귀국 후에 흥업구락부 사건으로 체포되었다해방 후 남조선과도입법의원으로 활동했고제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광복회장,이준열사기념사업회 총재 등을 지내며 원로독립운동가로서 활동하다 3.1기념행사에참석 도중 사망하였는데 민족대표 33인의마지막 생존자로 삼일동지회 고문을 지냈었다 (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서울현충원 2024.09.26

구리 이영준(李榮俊) 묘

이영준(1896년~1968년)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넘어가 도쿄제국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받은 후 귀국하여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부속병원장, 교장 등을 역임하며 교육과더불어 후임들의 양성을 위해 힘썼다광복 후 제헌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대한적십자사 사무총장을 지낸 것에 이어제4.5.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국회부의장을역임하는 등 정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경기도 2024.05.06

구리 조봉암(曺奉岩) 묘

조봉암 (1899년~1959년) 3.1운동에 참여하고 조선노동총동맹 문화부책으로 노동운동을 하였다 조선공산당의 창당을 주도하고 그곳의 주요 리더로서 독립운동을 주도하다 체포되어 수감되었다가 해방으로 풀려났다 해방정국에서 중도파로 활동하며 5.10 선거 당시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대한민국 초대 내각에서 농림부장관이 되어 농지개혁을 추진하기도 했으며 제2대 국회에서 국회부의장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제2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고 제3대 대통령 선거에도 출마했는데 신익희 사후 야권 후보로서 30%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후 진보당을 창당하고 당수가 되어 활동하다 간첩죄 및 국가보안법 위반혐의로 대법원에서 사형이 확정, 결국 집행되어 세상을 떠났다 훗날 조봉암에 대한 혐의는 정치탄압으로 판단되어 무죄가 선고..

경기도 2024.03.17

파주 노태우(盧泰愚) 묘

노태우 (1932년~2021년) 육군사관학교를 11기로 졸업했으며 베트남 전쟁에도 참전하였다 준장으로 진급하면서 제9공수특전여단장이 되었으며 청와대 대통령 경호실에서 행정차장보, 작전차장보를 지냈다 소장이 되어 제9보병사단장을 지낼 때 자신이 속한 하나회 사람들과 함께 12.12 군사 반란을 일으켜 정권을 탈취했으며 수도방위사령관, 국군보안사령관 등을 지내고 육군 대장으로 전역하였다 그 후 정계에 입문하여 초대 정무제2장관을 시작으로 체육부장관, 내무부장관 등을 지내고 1988년 서울올림픽 조직위원장이 되었다 제1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민주정의당 총재가 되어 제13대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여 3김을 꺾고 당선되었다 제6공화국의 첫 대통령이 되고 나서 러시아 대통령 미하일 고르바초프와 정상회담을 가지고..

경기도 2024.01.17

서울현충원 - 이철승(李哲承) 묘

이철승 (1922년~2016년) 제3대 국회의원 임기를 수행하던 중 사사오입 개헌을 통과시키자 가결을 선포한 최순주 국회부의장의 멱살을 잡았다 이후 민주당에 입당해 제4~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국회의원 신분으로 3.15 부정선거 규탄 시위에 참여하였다 5.16 군사 정변 이후 신민당에 입당했으며 제7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갔으나 낮은 득표율을 받고 김대중 후보를 밀어주었다 제8~9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제9대 국회에서 국회부의장을 지냈으며 신민당 총재 선출 전당대회에 출마했으나 김영삼에게 밀리자 김태촌의 조직폭력배를 동원해 1976년 신민당 전당대회 각목 사건을 사주하였다 제10/12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7선 의원이 되었다

서울현충원 2024.01.12

서울현충원 - 강영훈(姜榮勳) 묘

강영훈 (1921년~2016년) 6.25 전쟁 당시 국방부 관리국장, 제3군단 부군단장 등을 지냈으며 전쟁이 끝나고 합동참모차장을 지냈다 제6군단장 시절 4.19 혁명을 맞았는데 당시 "전차부대를 출동시켜라"라는 명령이 떨어졌으나 탱크로 학생들을 뭉개버리라는 거냐며 명령을 단호히 거부했다 이후 육군사관학교장을 지내다 5.16 군사 정변이 일어나자 반대했으며 당시 졸업생인 전두환 대위가 육사 생도들을 이끌고 지지 퍼레이드를 하려 하자 이를 저지했으나 전두환이 이를 박정희에게 고자질하여 체포되었다 그 후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노태우 정권 당시 국무총리를 지내며 분단 최초로 남북 총리회담을 성사시켰다

서울현충원 2024.01.11

서울현충원 - 김재순(金在淳) 묘

김재순 (1926년~2016년) 민주당에 입당하여 제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었으며 신민당에도 입당하였다 후에 민주공화당이 창당되자 입당하였으며 제6~8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고 민주공화당 원내총무가 되었으나 10.2 항명 파동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로 중앙정보부에 끌려가 고문을 당하고 원내총무직을 사퇴당하였다 그 후 9/13/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7선 의원이 되었으며 제13대 국회 전반 국회의장에 선출되었다

서울현충원 2024.01.10

서울현충원 - 서영훈(徐英勳) 묘

서영훈 (1920년~2017년) 대한적십자사에 들어가서 사무총장, 청소년적십자 부장 등을 지내고 그 밖에도 여러 활동을 하며 사회운동에 힘썼다 KBS 사장 겸 한국방송협회 회장이 되어 방송자유화를 위해 힘써 인기가 많았다 새천년민주당에 입당해 대표가 되었으며 제16대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도 하였으나 대한적십자사 총재가 되어 당을 탈당하였다

서울현충원 2024.01.09

서울현충원 - 박태준(朴泰俊) 묘

박태준 (1927년~2011년) 5.16 군사 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비서실장을 거쳐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였다 대한중석 사장에 취임하였으며 포항종합제철이 설립되자 초대 사장이 되어 10년 만에 550만 톤의 철강을 생산하는 대기업으로 키워내 '철강왕'이라 불린다 12.12 군사 반란 이후 정계에 입문하여 총 4선(11/13/14/15) 국회의원을 지내고 민주정의당 대표를 지내기도 하였다 1992년 포항제철 회장직을 사임하고 제15대 대통령 선거에서 김대중을 지원하였으며 김대중이 당선되자 김종필에 이어 국무총리에 취임하였다 포스코의 명예회장이 되어 포스코 청암재단 이사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서울현충원 2024.01.05

서울현충원 - 김현숙(金賢淑) 묘

김현숙 (1915년~1981년) 해방 후 여자경찰훈련교육대장 등을 지내며 여경 창설에 기여했으며 예비역 소위로 임관하였다 6.25 전쟁이 일어나자 이승만 대통령에게 여자의용군 모집을 건의, 여자의용군 교육대를 창설하고 초대 교육대장이 되었다 대한민국 여군 최초 대령으로 진급했으며 초대 여군처장으로 여군 창설의 주역이 되었다 그 후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도 하였다

서울현충원 2024.0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