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도창의군 2

서울현충원 - 이인영(李麟榮) 묘

이인영(1868년~1909년)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가 시해되고단발령까지 내려지자 유인석, 이강년 등과함께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켜 제천의병에도참여했다가 훗날 해산했다. 그러다 1905년을사늑약이 체결되자 다시 한 번 의병을일으키려 했으나 부친이 병석에 있어서뜻을 펼치지 못했다. 그 후 1907년에고종이 강제 퇴위 당하고 군대가 해산되자다시 의병을 일으켰으며 이은찬, 이구재 등이의병들을 모집해 본인을 찾아와 총대장을맡아줄 것을 요청했고 아버지가 병석에 있어처음에는 망설였으나 결국 수락했다. 이에그치지 않고 전국에 있는 의병들에게 모일것을 촉구해 허위, 민긍호, 신돌석 등 각 도의의병장들이 모였고 그렇게 결성된 단체13도 창의군의 총대장이 되었다. 그렇게서울로의 진격 작전을 계획했으나 이러한중요한 시기에 부친상..

서울현충원 2025.01.14

서울 13도 창의군탑

13도 창의군탑 1991년 8월 14일 동아일보사가 3.1운동 유적 보존 운동으로 건립하였다 1907년 11월 전국 13도에서 모인 의병이 일제에 빼앗긴 국권을 회복하기 위해 망우리 일대에서 펼친 서울 진공 작전을 기념하는 탑으로 13도 창의군은 총대장에 이인영, 군사장에 허위를 추대하였다 허위는 선봉대 300명을 이끌고 이곳에서 일본군과 혈전을 벌였으나 후속 부대가 늦게 도착하는 바람에 퇴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