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537

서울현충원 - 김대중(金大中) / 이희호(李姬鎬) 묘

김대중 (1924년~2009년) 민주당에 입당하고 제5대 국회의원에 당선되며 본격적인 정치의 길을 걸었다 신민당 대변인을 지내고 제7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박정희에게 밀려 낙선하였다 유신헌법이 반포된 후 유신 반대 운동을 펼치다 중앙정보부에 의해 일본에서 납치되어 죽을 뻔 했으나 미국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졌다 김영삼과 통일민주당을 창당해 활동하였고 평화민주당을 창당해 제13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으며 민주당을 창당해 제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하였다 제14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8선 의원을 지내고 새정치국민의회를 창당해 총재를 지내다 제15대 대통령에 당선되어 최초로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켰으며 이를 계기로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이희호 (1922년~2019년) 김대중과 혼인하..

서울현충원 2023.12.14

서울현충원 - 이승만(李承晩) / 프란체스카 도너 리 묘

이승만 (1875년~1965년) 미국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수료했으며 대한국민의회에서 국무경으로 한성임시정부에서 집정관총재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국무총리로 추대되었다 나중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이 되어 활동했으나 후에 탄핵되었고 그 후에 미국을 주 무대로 독립운동을 하였다 해방 후 귀국하여 남쪽만의 단독 정부 수립을 주장하였으며 제헌 국회의원에 당선, 초대 국회의장에 임명되었고 이어진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그 이후 '발췌 개헌'을 통해 제2대 대통령, '사사오입 개헌'을 통해 제3대 대통령에 당선되었으나 3.15 부정선거로 인해 4.19 혁명이 일어나자 대통령직에서 하야해 하와이로 망명하였다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추서) 프란체스카 도너 리 (1900년~1992년) 오스트리아..

서울현충원 2023.12.13

남양주 변응성(邊應星) 묘

변응성(1552년~1616년)공조판서 변협의 아들로 임진왜란이일어나고 경주부윤이 되었으나 경주는이미 점령당해 부임하지 못했으며가평 전투 당시 싸우지도 않고 도망쳐백의종군 했으나 류성룡의 변호로경기방어사가 되어 여주목사 원호와남한강에서 적들을 격퇴했으며 광주,이천, 양주 지역에서 토적을 토벌하고한강 상류 용진에 정착해 병사들을훈련시켰고 후에 훈련대장을 지내고사후 병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경기도 2023.12.11

서울 상진(尙震) 묘

상진(1493년~1564년)1519년 문과 급제 후 여러 관직을거쳐 대사간, 형초참판을 지냈고경기도관찰사가 되어 민정을 잘 다스렸다그 후 형조판서, 한성판윤, 대사헌을지내고 공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지내다가인종 즉위 후 윤원로와 결탁했다 하여경상도관찰사로 좌천되었다. 명종 즉위 후다시 형조판서, 이조판서를 지냈고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까지 지내며 국정을총괄했다. 임꺽정의 난을 평정하는데일조했으며 말년에 기로소에 들어가고궤장을 하사받기도 하였다

서울 효령대군(孝寧大君) 묘

효령대군 이보(1396년~1486년)조선 태종과 원경왕후의 아들로형인 양녕대군이 폐세자되고 동생인충녕대군이 자신을 제치고 세자가되었으나 우애가 좋았다고 한다불교에 빠져 많은 유신들의 반대에도불구하고 승도를 모아 불경을 강연하도록 했다회암사의 중수를 건의하고 원각사가 창건되자조성도감 제조가 되어 역사를 감독했다세종부터 성종까지 장수하며 왕실의큰 어른으로 존경, 대우 받았다 예성부부인 해주 정씨해주 정씨 정역의 딸로효령대군과의 사이에서 6남 1녀를 두었다

서울 대법원(大法院) 청사

대법원 본래의 대법원 청사는 덕수궁 옆 르네상스식 건물을 사용했는데 1995년 현재의 청사가 새로 신축되어 이전했으며 옛 청사는 현재 서울시립미술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1948년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됨에 따라 사법권의 독립이 보장되었으며 김병로 선생이 초대 대법원장을 지냈다 청사는 본관, 동관, 서관, 법정동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관에는 자유, 평등, 정의라는 문구가 써져 있다

서울 김주열(金朱烈) 묘

김주열 (1943년~1960년) 마산상고에 지원하고 합격자 발표에 앞두고 마산에 내려왔다가 3.15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시위에 참가했다가 실종됐다 27일 후 마산 앞바다에서 눈에 최루탄이 박힌채로 떠올랐으며 이는 4.19 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김주열 열사의 묘는 총 3곳에 있다. 진짜 묘는 고향인 전라북도 남원에 있으며 3.15 민주 묘지와 4.19 민주 묘지에 각각 가묘를 만들어 두어 추모하고 있다)